인물이야기(64)
-
오스만제국의 해체, 튀르키예 탄생, 그리고 독재
2025년 3월 19일 튀르키예의 이스탄불 시장인 이마모을루가 전격체포되어 구치소에 구금되는 사건이 일어난다.이마몰루 시장은 출근 준비를 하던 중 경찰이 자신의 집을 에워싸자 페이스북 방송으로 국민들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렸다.잠시 후 이마몰루는 경찰에 연행이 되었고 구치소에 구금이 됐다.우리의 형제국이라 부르는 튀르키예는 이 사건을 계기로 시위가 격화되고 있다.민중들의 시위의 원인은 언제나 독재에 있다.우리나라도 독재의 트라우마가 있다.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렸고 그 가족들은 아픔을 가슴에 묻고 평생을 살아야 했다.이땅에 어떤 민중도 억압 받지 않고 행복할 권리가 있다.튀르키예가 독재자가 나타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자. 오스만 트루크 제국의 해체 1차 세계대전 당시 오스만제국은 전쟁에 참전한다.그리..
2025.04.18 -
권리청원은 이렇게 탄생했다
역사는 진보하는 것일까?역사는 더디지만 진보한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있다.반면 역사는 진보하지 않고 반복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과연 어떤 말이 사실일까?짧은 시기적으로 볼땐 퇴보하거나 반복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그러나 아주 긴 시간을 통해서 바라보면 역사는 반드시 더디지만 진보한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여기서 역사의 진보냐? 반복이냐의 질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그렇게 더디지만 앞으로 나아가는 역사의 동력은 민중의 피와 희생, 그리고 고통을 참아내는 인내라는 것을.아뭏든 현실에서 살아가면서 역사의 퇴보와 진보가 서로 싸우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잘못된 역사에 대한 청산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17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권력을 향한 비루한 인간들의 모습을 이야기 해보자. 영국의 ..
2025.04.13 -
대한매일신보 창간과 일본의 만행을 알린 영국인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 목숨을 바친 독립군과 백성들은 무수히 많다.자신의 안위와 영달을 위해서 일제의 개가 되어 독립군을 잡아 죽이고 민중들을 괴롭힌 친일파들 또한 많았다.외국인의 양심으로 일제의 만행을 세계 곳곳에 알린 영국인 청년이 있었다.그의 이름은 어니스트 베델.그는 조선을 너무 사랑했으며 양심과 용기로 일제에 맞섰다.그의 행적들을 짚어 보자. 어니스트 베델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다 어니스트 베델은 1904년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조선에 들어온다.이 과정에서 조선에 대한 일본의 만행을 접하게 되면서 일본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한 행동에 들어간다.베델은 바로 [대한매일신보]라는 신문을 창간하고 일제의 만행을 알리기 시작한다.1905년에 을사늑약에 의해 조선의 외교권을 빼앗긴다.이때 베델은 사..
2025.04.10 -
3.1만세 운동을 전 세계에 최초로 알린 사람
사업가인 아버지를 따라 한국에 들어온 청년.아버지를 이어 광산 사업가로서의 활동과 AP통신 통신원으로도 활동을 하면서 당시 식민지 조선의 상황과 일본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한 인물.그의 이름은 앨버트 테일러.그가 일본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면서 겪었던 고초도 적지 않았다.그의 조선에 대한 사랑과 활동들을 이야기한다. 3.1 만세 운동을 세계 최초로 알린 사람 앨버트 테일러는 1896년 미국의 광산사업가인 아버지를 따라서 한국에 왔다.그리고 영국 출신의 메리 테일러와 결혼을 한다.조선에서 광산사업가와 통신원으로 활동을 하면서 20여년을 보내던 어느날.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기 하루 전인 2월 28일 세브란스 병원에서 아들을 출산한다.당시 세브란스 병원은 기미 독립 선언문을 인쇄하는..
2025.04.09 -
도박중독자 도스토옙스키와 안나 도스토옙스카야
도스토옙스키가 쓴 유명한 작품들이 있다.,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백치, 악령, 가난한 사람들 등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들이다.이런 작품을 쓴 도스토옙스키가 도박에 빠져 평생을 살았다.그의 자서전에서도 이야기 하는 도스토옙스키의 도박 중독자로서의 삶을 따라가보자. 죽음에서 살아난 도스도옙스키 1821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난 도스토옙스키의 가정사는 어두웠다.의사인 아버지가 도박에 중독되어 가정을 돌보지 않고 흥청대는 모습을 보고 자랐다.그의 자서전에 의하면 아버지가 한 번도 가족을 위해서 돈을 가져다 준 것을 본적이 없다고 한다.그런 도스토옙스키도 청년시절 도박을 하기 시작했다.그러다가 도스토옙스키 인생에 가장 큰 사건이 일어난다.20대에 접어든 청년 도스토옙스키는 농노해방운동에 투..
2025.04.08 -
양녕대군, 조선 최대의 난봉꾼이자 인면수심의 인물
우리가 알고 있는 양녕대군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예전에 이라는 드라마에서 양녕대군에 대한 모습은 태종에 대한 반항이 태종의 무자비한 숙청에 있는 것 처럼 그려졌다.하지만 양녕의 충격적인 모습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소개되면서 양녕대군에 대한 논란도 있는것이 사실이다.태종이 너무나 사랑했던 양녕을 폐세자하고 충녕을 세자로 책봉한 속사정을 알아보자. 양녕(이제 - 李禔)을 너무나 좋아했던 이방원 이방원은 양녕을 너무나 좋아했다.정도전에 의해서 죽임을 당할 위기를 몇 번이나 넘긴 이방원은 양녕이 유일하게 자신에게 웃음을 주는 존재라고 이야기 한다.그만큼 양녕을 아끼고 사랑했다.이방원은 그를 자신의 뒤를 이을 왕으로 만들고 싶었다.그래서 이방원은 자신이 왕이 되기 전에도 양녕에게 세자 교육을 시켰다고 한다.그..
2025.04.04